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한번역, 영자신문] Emerging Vulnerabilities in Emerging Economies / 신흥국의 경제의 위험성 도래

Study/English

by KTC_KANG 2018. 8. 25. 16:20

본문

Emerging Vulnerabilities in Emerging Economies

/

신흥국의 경제의 위험성 도래


"이 글은 개인적인 공부 및 동기 부여의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출처는 아래에 밝히고 있으며 원문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단어는 네이버 사전을 통해 검색하였습니다."




"For many emerging economies, it is imperative to pursue a rebalancing of growth patterns, with a more active approach to managing debt and capital flows and their effects on asset prices, exchange rates, and growth. Otherwise, the dangers of unsustainable growth patterns will bring expansion to an abrupt halt."



많은 신흥국 경제에서, 성장 패턴의 리밸런싱을 추구하는 것은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다. 동시에, 부채와 현금 흐름과 이에 따른 자산 가격, 환율, 성장에 영향을 더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속적이지 않은 경제 성장 패턴은 경제 성장의 갑작스런 멈춤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Just before the collapse of the US investment bank Lehman Brothers triggered a financial crisis that would engulf the world economy, the Commission on Growth and Development published an assessment of emerging-economy growth strategies, aimed at drawing lessons from previous research and experience. Over a decade later, many - if not most - of those lessons remain unheeded.



미국의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의 붕괴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유발하기 직전에, 경제성장 위원회는 이전의 연구와 경험으로부터 교훈을 끌어내기 위해 신흥국의 경제 성장 정책에 대한 평가를 발표했다. 십 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면서, 그 교훈들 중 상당수는 무시된 채로 남게 되었다.



In emerging economies, sustained medium or high GDP growth is the key to advancing development and raising incomes. Of course, crises inevitably produce major setbacks with long recovery periods, drastically reducing growth in income and wealth. But ten years is a long time, and the gap between what experience dictates emerging economies should do and what they have been doing remains large.



신흥국 경제에서, 지속적인 중간 수준의 또는 높은 성장률은 경제 발전과 소득 증대의 핵심이다. 물론, 경제 위기는 긴 회복기와 소득과 부의 성장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피할 수 없는 차질을 빚는다. 그러나 10년이라는 시간은 상당히 긴 시간이고 경험에 따른 신흥국이 해야만 하는 것과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의 차이는 크게 남는다.



While some countries have achieved sustained medium or high growth, they have relied on high levels of public and private investment, financed mainly by domestic savings. By contrast, running persistently large current-account deficits creates vulnerabilities and often leads to disruptions, as external financial conditions change. Borrowing in foreign hard currencies is particularly risky, as depreciation of the local currency can cause liabilities to surge. Emerging economies thus should be working to constrain debt levels, though the extent to which this is needed depends on growth, as strong and resilient increases in GDP reduce leverage ratios.



몇몇 국가들이 지속적인 중간 또는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는 동안, 그들은 국내 저축을 통한 공적, 사적 투자의 의존한다. 그러나, 고집스럽게 높은 당좌 예금의 적자를 운영하는 것은 취약점을 만들며, 붕괴로 이끈다. 외국 경화를 통한 차입은 자국 통화의 평가 절하가 부채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할 수 있을 때에만 부분적으로 위험성이 있다. 강하고 탄력적인 GDP의 증가가 레버리지 비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신흥국은 자신의 성장 정도에 따라 부채 수준을 제한해야 한다. 



The value of the currency is also relevant. Persistent undervaluation, achieved through the accumulation of foreign-exchange reserves, reduce the incentive to pursue structural reform and achieve productivity growth. This is one element of the well-known middle-income trap. Moreover, the return on foreign-reserve assets is usually quite low, because the local currency will appreciate (even if it remains undervalued) if the economy is growing - a pattern that can be sustained for an extended period.



통화의 가치는 또한 상대적이다. 외환보유고의 누적으로 달성 되는 지속적인 평가 절하는 구조적인 개선을 추구하고 생산성의 증대를 달성하는 것에 대한 동기부여를 감소시킨다. 이는 중간 소득 함정의 한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만약 경제가 계속 발전한다면 자국 통화는 결국 평가 절상 될 것(평가 절하를 계속 유지하더라도)이기 때문에 외환보유고의 수익은 보통 낮은 수준이고 이는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패턴이다.



The risks associated with an overvalued currency are more severe. For starters, growth and employment in the tradable sector is adversely affected, essentially because the terms of trade are mismatched with the economy's productivity levels.



과대 평가된 화폐에 따른 위험성은 더 심각하다. 무역 조건이 그 국가의 생산성 수준과 미스매치 되었기 때문에 시작 단계에 있는 국가들의 무역 부문의 성장과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Furthermore, an overvalued currency will usually be accompanied by a current-account deficit and excessive reliance on foreign capital to finance investment. If external financial conditions are favorable, this pattern can be sustained for some time. But, as recent experience has shown, a change in such conditions can force countries either to allow currency depreciation or to delay it by purchasing large amounts of local currency using the central bank's foreign-currency reserves.



더 나아가, 절상된 화폐는 투자를 모으는 데 있어 당좌 예금의 적자와 외국 자본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동반한다. 만약, 나라 밖의 경제 상황이 좋다면 이러한 패턴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일이 보여준 것처럼, 경제 조건의 변화는 국가가 평가 절하를 하도록 강제할 수 있고, 또는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를 통해 큰 규모의 자국 통화를 구입함으로써 평가 절하를 연기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In any case, markets eventually force an often-sharp depreciation of the currency. As a result, credit is tightened, balance sheets deteriorate (especially if companies or banks have borrowed in a foreign currency), investment contracts, and growth takes another hit.



어떠한 경우든, 시장은 때때로 빈번하고 날카로운 화폐 가치 절하를 강요한다. 그 결과, 신용은 축소되고 재무상태표는 악화되며(특히 기업이나 은행이 외환 차입을 한 경우에), 투자는 위축되고 성장은 또 다른 충격을 받는다.





"글의 나머지 부분을 읽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출처를 눌러주세요!"

원문 출처: 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emerging-economies-growth-patterns-risks-by-michael-spence-2018-08

최대한 자연스러운 의역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쉽지는 않네요.
혹시 이렇게 하면 더 깔끔한 번역이 될 것 같다 하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도 한번...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