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한번역, 영자신문] A New Model of Human Security / 인간 안보의 새로운 모델 - 인간 안보, 브렉시트, 트럼프 반 이민 정책

Study/English

by KTC_KANG 2018. 8. 28. 21:18

본문

A New Model of Human Security

/

인간 안보의 새로운 모델

- 인간 안보, 브렉시트, 트럼프 반 이민 정책


"이 글은 개인적인 공부 및 동기 부여의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출처는 아래에 밝히고 있으며 원문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단어는 네이버 사전을 통해 검색하였습니다."



"Between interventionist excesses and tragic cases of inaction, it is clear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till lacks a reliable doctrine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problem is that current security models are still based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state sovereignty, rather than focusing on individual dignity."



개입주의자의 과도함과 비극적인 관망의 사이에서, 국제 공동체의 책임 있는 인도주의적인 개입의 선언이 불충분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보다 더한 문제는 현재의 안보 모델이 개인의 존엄성에 집중하기보다 전통적인 국가 통치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이다.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globalization progresses not steadily, but through ups and downs. Currently, it appears to be in a downswing, hindered by a growing number of irresponsible political leaders who describe it as the root of all evil. With the rhetoric of intolerance masquerading as nostalgia, populists such as US President Donald Trump advocate building walls and closing borders to reclaim "sovereignty" and "security."



세계화의 진전이 꾸준하지 않고 상승과 하락을 겪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현재는 세계화를 모든 악의 근원으로 묘사하는 정치적 지도자 수의 증가로 인해 세계화의 진전이 위축되는 것처럼 보인다. 향수로 위장된 편협함의 수사법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같은 인기 영합주의자들은 통치권과 안보를 되찾겠다는 명목으로 벽을 세우고 국경을 닫는 것을 옹호한다.



Of course, it was always naive to suppose that the nation-state could easily be divested of its central role in human affairs. But it is equally naive to believe that phenomena such as Brexit or Trump's election augur the nation-state reigns supreme. At this state, the world is so interconnected that any talk of reversing globalization is chimerical.



물론, 인류의 중요한 일에서 민족국가가 차지하고 있는 주된 역할이 박탈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항상 순진해 빠진 생각이었다. 그리고 브렉시트와 트럼프의 당선과 같은 현상이 민족국가가 패권을 가질 조짐이 되는 것이라고 있는 것 또한 순진한 생각이다. 현재 세계는 높은 수준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세계화에 반대되는 어떠한 이야기도 공상에 불과하다.



In the realm of security, we need to confront the dark side of this interconnectivity.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currently in place are inadequate to counter today's threats, and this was true even before Brexit and Trump made things worse.



안보의 영역에 있어서, 우리는 상호 연관성의 좋지 않은 측면에 직면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법적 제도적 메커니즘은 오늘날의 위협에 반격을 가하기에는 부적절하고, 브렉시트와 트럼프가 상황을 악화시키기 전에도 이는 부적절했다. 



As Christine Chinkin and Mary Kaldor of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argue in their book International Law and New Wars, the classic distinction between international and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 has lost currency. In this day and age, internal and external security must be understood as a continuum.



런던정경대의 Christine Chinkin과 Mary Kaldor가 그들의 책 '국제법과 새로운 전쟁'에서 주장하듯이, 국제와 국제적이지 않은 무장 갈등의 고전적인 구분은 더 이상 통용되지 않고 있다. 오늘날, 내부와 외부 안보는 하나의 연속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Chinkin and Kaldor show that "new wars" such as the conflict in Syria tend to involve a wide array of players - public and priva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 and transcend national borders. This latter point is illustrated by the former territorial grip of the Islamic State in Iraq, as well as its attacks in many other countries. Moreover, new wars usually have a strong ethnic, religious, or tribal component, and last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the detriment of civilian populations.



Chinkin과 Kaldor은 시리아 내전과 같은 "새로운 전쟁"이 넓은 범위의 이해 관계자 - 공적, 사적, 국내적, 국제적 - 가 포함되고 국경을 초월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후자의 점은 전자의 이라크 이슬람 국가의 영토 확장과 그들의 세계에 대한 공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더욱이, 새로운 전쟁은 보통 강한 인종적이고 종교적이며 종족적인 구성요소를 가지고, 오랜 기간 지속되며 시민들의 피해로 이어진다.


 

The recent surge of conflicts with an intrastate dimension implies that the old Westphalian model of sovereignty - whereby states monopolize the legitimate use of force within their borders - has become obsolete. If we are to build a truly international society, we must think of sovereignty in terms of not just authority, but also responsibility.



최근 국가 내부 차원의 무력 충돌의 급격한 증가는 통치권의 베스트팔렌 모델 - 국가가 그들의 국경 안에서 합법적인 무력의 사용을 독점하는 - 이 구닥다리로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만약 우리가 진정으로 국제 사회를 만들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권위뿐만 아니라 책임의 관점에서 통치권을 고려해야 한다.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be willing to intervene in countries where the government poses a danger to its own population. That is the logic behind the doctrine of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R2P), which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unanimously adopted in 2005.



따라서, 국제 공동체는 정부가 그들의 국민들에게 위험을 야기하는 국가들에 기꺼이 개입해야만 한다. 이것은 2005년 UN 총회에서 채택된 "보호해야 할 의무"에 대한 선언과도 부합한다.



Unfortunately, when use of force has been justified on humanitarian grounds, interventions have focused narrowly on tactical military considerations. On paper, R2P also entails a responsibility to prevent and a responsibility to reconstruct, both of which are usually relegated to the background. Even worse, when the UN Security Council has authorized interventions with "all necessary" means on the basis of R2P - in Libya and the Ivory Coast, both in 2011 - the concept has been accused of whitewashing regime change.



그러나 불운하게도 인도주의적인 토대 위에서 무력의 사용을 정당화할 때는, 개입은 전술적인 군사적 고려 사항에 집중되었다. 선언문에는 "보호해야 할 의무"가 보통 배경에 잠재 되어 있는 막아야 할 의무와 재건해야 할 의무를 수반한다고 되어 있다. 더 좋지 않게는, UN 안전보장이사회가 "보호해야 할 의무"에 기초하여 모든 필요한 수단을 통한 개입을 승인할 때, - 2011년의 리비아나 아이보리 코스트 - 그 개념은 정권 교체를 눈 가림 하는 것이라고 비난 받았다.



인간 안보, 브렉시트, 트럼프 반 이민 정책 인간 안보, 브렉시트, 트럼프 반 이민 정책

"글의 나머지 부분을 읽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출처를 눌러주세요!"

원문 출처: 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a-new-model-of-human-security-by-javier-solana-2018-08

최대한 자연스러운 의역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쉽지는 않네요.
혹시 이렇게 하면 더 깔끔한 번역이 될 것 같다 하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도 한번...
브렉시트, 트럼프, 시리아 내전, 인간 안보, 리비아 내전, UN 브렉시트, 트럼프, 시리아 내전, 인간 안보, 리비아 내전, UN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